왕오천축국전은 신라 시대 승려 혜초가 727년에 쓴 우리나라 최초의 외국 여행기입니다. 혜초는 704년에 태어나 787년에 죽은 승려로, 젊은 시절 바닷길을 통해 인도로 떠나 10년 동안 인도의 성지와 주변 나라들을 순례했습니다. 그 후 육로를 통해 서역을 거쳐 당나라로 돌아와 자신의 여행 경험을 이 책에 담았습니다.
이 작품은 오랫동안 잊혀져 있다가 1908년 프랑스의 동양학자 펠리오가 중국 간쑤성 둔황에서 발견했습니다. 현재는 파리 국립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어 우리나라 고전 문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왕오천축국전의 특징과 내용
혜초는 자신이 여행한 나라들의 모습을 매우 체계적으로 기록했습니다. 각 나라의 의식주, 풍속, 종교, 세금 제도, 재판 제도 등 다양한 정보를 병렬적으로 나열하여 당시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이는 마치 백과사전처럼 객관적이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을 보여줍니다.
또한 혜초는 자신이 여행한 시간의 흐름과 여정에 따라 순서대로 서술했습니다. 이런 시간 순행적 구성은 독자들이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글 중간중간에 삽입된 시들입니다. 이 삽입시들은 작가 혜초의 개인적인 감성과 느낌을 잘 드러내주어, 딱딱할 수 있는 기행문에 풍부한 감성을 불어넣는 역할을 합니다. 객관적인 정보 전달과 주관적인 감정 표현이 조화를 이루어 문학적 가치를 높인 것입니다.
역사적 배경과 의미
천축국은 옛날 중국에서 인도를 가리키던 이름입니다. 오천축국은 인도의 다섯 지역을 의미하는데, 혜초는 이곳들을 중심으로 주변의 여러 나라까지 두루 여행했습니다. 당시는 통일 신라 시대로, 우리나라가 국력을 바탕으로 활발한 국제 교류를 펼치던 시기였습니다.
혜초의 여행은 단순한 관광이 아니라 불교 성지 순례의 성격이 강했습니다. 그는 부처님이 태어나고 깨달음을 얻고 설법했던 성스러운 장소들을 직접 찾아가 참배하고, 그곳의 모습을 자세히 기록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불교 유적 순례기라는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문학사적 의의
왕오천축국전은 한국 문학사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의의를 갖습니다. 우선 우리나라 최초의 외국 기행문이라는 점에서 매우 귀중합니다. 이전까지는 우리나라 안에서의 여행이나 생활을 다룬 글은 있었지만, 외국을 여행하고 그 경험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작품은 이것이 처음이었습니다.
또한 8세기 당시 인도와 서역 각국의 생생한 모습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역사 자료이기도 합니다. 당시의 종교, 문화, 사회 제도, 생활 모습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역사학자들에게도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문학적으로는 고대 수필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작입니다. 객관적인 정보 전달과 주관적인 감정 표현이 조화를 이루어, 후대 기행 수필 문학의 발전에 중요한 바탕이 되었습니다. 특히 삽입시를 통한 감정 표현 기법은 우리 기행 문학의 중요한 전통이 되었습니다.
학습 포인트
왕오천축국전을 공부할 때는 몇 가지 핵심 사항을 기억해야 합니다. 먼저 작가 혜초가 신라 시대의 승려였고, 727년에 이 작품을 썼다는 기본 정보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또한 이 작품이 우리나라 최초의 외국 기행문이자 최초의 불교 순례기라는 문학사적 의의도 중요합니다.
표현 기법으로는 다양한 정보를 병렬적으로 나열하는 방법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서술 방식, 그리고 삽입시를 통한 감정 표현 등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런 기법들이 어떻게 작품의 효과를 높이는지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이 1908년 둔황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과 현재 파리에 보관되어 있다는 점도 함께 기억해두면 좋습니다. 이는 우리 문화재의 해외 유출이라는 아픈 역사와도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요약 정리
📚 작품 소개
왕오천축국전은 신라 시대 승려 혜초가 쓴 우리나라 최초의 외국 여행기입니다.
- 언제: 727년 (신라 성덕왕 26년)
- 누가: 혜초(704~787)라는 승려
- 무엇을: 인도와 주변 나라들을 10년간 여행한 경험을 기록
- 어떻게 발견: 1908년 프랑스 학자가 중국 둔황에서 발견
🌟 작품의 특징
1. 내용상 특징
- 다양한 정보를 차례대로 나열: 각 나라의 문화, 종교, 생활 모습을 체계적으로 소개
- 시간 순서대로 서술: 여행한 순서에 따라 차근차근 기록
- 백과사전 같은 성격: 당시 인도와 서역 각국의 모든 것을 상세히 기록
2. 문학적 특징
- 삽입시의 활용: 글 중간중간에 시를 넣어서 작가의 감정을 생생하게 표현
- 감성적 표현: 딱딱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여행자의 마음이 느껴지는 글
🎯 문학사적 의의
1. 최초의 기록들
- 한국 문학 최초의 외국 기행문
- 최초의 불교 유적 순례기
2. 역사적 가치
- 8세기 인도와 서역 각국의 생생한 모습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
- 당시 국제적 교류의 증거
📖 주요 내용
천축국이란?
- 천축국: 옛날 중국에서 인도를 부르던 이름
- 오천축국: 인도의 다섯 지역을 가리킴
기록된 내용들
- 의식주: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 풍속: 각 지역의 독특한 문화와 관습
- 종교: 불교를 중심으로 한 종교 생활
- 제도: 세금 제도, 재판 제도 등 사회 시스템
💡 학습 포인트
문학 갈래
- 갈래: 고대 수필, 기행 수필, 한문학
- 성격: 기록적, 견문적, 교술적
표현 기법
- 병렬법: 여러 정보를 나란히 배열하여 체계적으로 서술
- 시간 순행법: 여행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서술
- 삽입시: 산문 중간에 시를 넣어 감정 표현
🔍 시험 출제 포인트
- 문학사적 의의: 최초의 외국 기행문, 최초의 불교 순례기
- 작가와 작품: 혜초, 727년, 신라 시대
- 갈래와 성격: 고대 수필, 기행 수필의 특징
- 표현 기법: 병렬적 나열, 삽입시의 역할
- 역사적 배경: 통일 신라 시대의 국제적 교류
📝 암기 팁
- 혜초 → 727년 → 최초의 외국 기행문
- 천축국 = 인도, 오천축국 = 인도의 다섯 지역
- 삽입시의 역할 = 작가의 감정 표현 + 풍부한 감성
- 발견: 1908년 둔황에서 프랑스 학자 펠리오가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