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달 설화와 서동 설화: 작품의 역사적 의미와 인물 분석

온달 설화와 서동 설화: 작품 역사적 의미와 인물 분석

<온달 설화>

온달 설화의 역사적 특징

온달 설화는 역사상 실존했던 인물을 다루는 ‘전(傳)’ 형식의 설화입니다. 고구려 시대의 인물인 온달은 『삼국사기』에도 기록된 역사적 인물로, 이 설화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민간에서 전해 내려온 이야기입니다.

온달 설화의 의의는 역사적 인물의 삶을 민간에서 재해석하고 설화화하여 전승했다는 점에 있습니다. 이는 당시 사람들이 역사적 인물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그리고 어떤 가치관을 중요시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적 자료입니다.

온달 설화의 주요 인물 분석

평강 공주는 온달 설화에서 강직한 성품과 당당한 모습을 통해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 나가는 주체적인 여성상으로 부각됩니다. 아버지인 평원왕의 결정에 맞서 자신이 선택한 온달과 결혼하고, 그를 위대한 장수로 성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온달은 미천한 신분에서 시작했지만 평강 공주의 지혜와 도움으로 입신양명하는 인물입니다. 그의 성장 과정은 당대 사람들이 바람직하게 여겼던 인물상을 반영하고 있으며, 노력과 의지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온달 설화의 주제 의식

온달 설화는 부권 중심의 전통적 가치관을 비판하고, 스스로의 독자적인 삶을 개척해 나가는 여성의 주체 의식을 담고 있습니다. 평강 공주가 아버지의 의지에 반하여 자신의 배우자를 직접 선택하고, 그를 성장시키는 과정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많은 학자들은 온달 설화의 서사적 주체를 평강 공주로 보고, 이 이야기를 평강 공주에 관한 이야기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이는 고대 사회에서도 여성의 주체적인 역할과 의미가 중요하게 인식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서동 설화>

서동 설화의 역사적 배경

서동 설화는 역사적 사실과 설화적 서술이 한데 어우러진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백제의 30대 왕인 무왕(서동)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역사의 설화화가 진행된 대표적인 결과물입니다. 이 설화는 서동이 신라 선화공주와 결혼하게 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으며,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백제와 신라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적 자료입니다.

서동 설화와 동요의 역할

당시 동요나 민요는 가장 중요한 놀이문화이자 여론을 형성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서동이 선화공주를 얻기 위해 동요를 퍼뜨린 것은 당시로서는 최고의 대중매체를 활용한 전략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서동요는 “서동방이 남의 밭에서 콩을 훔쳐 먹고, 선화공주와 밤에 몰래 만난다”는 내용으로, 이를 통해 공주의 명예를 훼손시키고 결국 공주가 궁에서 쫓겨나 서동과 만나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서동 설화의 참요적 성격

참요는 민요의 한 갈래로서, 시대적 상황이나 정치적 징후를 암시하는 노래를 말합니다. 서동요는 자신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퍼뜨린 참요의 시발점이 된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서동이 자신의 정치적, 개인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민중의 입을 통해 여론을 형성하고 이를 활용한 방식은, 고대 사회에서의 대중 커뮤니케이션과 정치적 전략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Leave a Comment